프로젝트 소개
카카오톡으로 채팅한 대화 파일을 올리는 프로젝트입니다.
- 작업자 두 명이 카카오톡으로 채팅합니다.
- 주어진 세부 주제를 활용해서 친근하고 자연스럽게 대화합니다.
- 대화는 최소 30턴에서 최대 40턴 분량입니다.
- 작업자 두 명이 한 차례씩 얘기한 경우를 1턴이라고 합니다.
- 프로젝트에 대화 파일을 올려서 제출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가이드 업데이트
3.24
[채팅하기] 문구 수정:
- 모든 대화문에서 작업자의 성별, 연령대, 상대와의 관계는 실제와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주의사항] 기준 추가:
- 작업자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인 척 진행한 대화는 반려 대상입니다.
- 성별, 연령대, 상대와의 관계를 실제와 다르게 변경하지 않습니다.
3.16
[주의사항] 기준 추가:
- 대화 중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질문이 없다면 반려 대상입니다.
- 개인 의견을 묻거나 경험을 물어보는 문장은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직접 검색하라고 권유하는 문장은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말하는 사람이 답을 알고서 묻는다면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대화 파일 만들기] 기준 추가:
- 줄임말, 인터넷 용어, 은어는 사용할 수 있으나 단순 오탈자는 수정합니다.
- 대화 중 메시지를 지운 경우 나타나는 안내 문구를 삭제합니다.
작업 기준
채팅하기
- 작업자 두 명이 카카오톡으로 채팅합니다.
- 오픈채팅방을 활용하여 채팅 이름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시작합니다.
- 세부 주제를 활용해서 대화를 시작합니다.
- 세부 주제 리스트에 있는 주제로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 세부 주제로 대화를 시작했다면, 이후 주제 제한 없이 자유롭게 대화 가능합니다.
- 최소 제한은 단어 두 개, 최대 제한은 없습니다.
- 모든 대화는 엔터를 누르지 않고 하나의 말풍선에 모든 문장을 작성한 뒤 전송합니다.
- 대화 중 인터넷 검색을 통해 답을 알아낼 수 있는 질문이 최소 1회 이상 있어야 합니다.
- 사소하더라도 검색으로 알아낼 수 있는 정보를 물어보아야 합니다.
예: “이 배우 다른 거 뭐 있더라?” / “요즘 기차 값이 얼마지?” - 직접적으로 묻는 질문형의 문장이어야 합니다.
- 질문하는 사람은 답을 알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 대화 흐름과 질문이 자연스러워야 합니다.
- 사소하더라도 검색으로 알아낼 수 있는 정보를 물어보아야 합니다.
- 모든 대화문에서 작업자의 성별, 연령대, 상대와의 관계는 실제와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 개인의 경험이나 일상 생활에 대해 얘기할 수 있습니다.
- 작업자 두 명의 관계는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직/간접적으로 드러나야 합니다.
- 대화할 때 초성, 줄임말, 인터넷 용어, 텍스트 이모티콘을 대화에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텍스트 이모티콘: ^_^ / ㅇㅅㅇ / ㅠㅠ 등 글자로 이루어진 이모티콘
- 대화 흐름에 맞게 유명인, 브랜드 상표명, 영화/드라마 등을 자유롭게 언급할 수 있습니다.
- 모든 대화는 자연스러운 분위기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의사항
- 작업자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인 척 진행한 대화는 반려 대상입니다.
- 성별, 연령대, 상대와의 관계를 실제와 다르게 변경하지 않습니다.
- 대화 중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질문이 없다면 반려 대상입니다.
- 개인 의견을 묻거나 경험을 물어보는 문장은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 “~가 있는데 어때?” / “너는 ~ 해봤어?” - 직접 검색하라고 권유하는 문장은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 “~라고 있어 검색해봐!” - 말하는 사람이 답을 알고서 묻는다면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 “~라고 있는데 너 뭔지 알아?”
- 개인 의견을 묻거나 경험을 물어보는 문장은 질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대화 중 작업자 본인의 개인정보가 드러난 문장은 반려 대상입니다.
- 작업자 본인의 개인정보 예: 작업자의 실명, 집 주소, SNS 닉네임 등
- 대화의 흐름에 따라 작업자의 이름이 언급될 경우 다음 이름으로 작성합니다.
- 남자: 영수
- 여자: 옥순 / 순자
- 대화의 흐름에 따라 공공장소가 아닌 개인 주소가 언급될 경우 가상으로 작성합니다.
- 예: 서울시 하늘구 하늘동 등
- 일방적인 문의가 이어지는 업무적 대화는 반려 대상입니다.
- 이미지, GIF, 영상, URL 링크, 그림 이모지를 사용한 경우 반려 대상입니다.
- 카카오톡 기능을 사용한 경우 반려 대상입니다.
- 송금하기, #검색, 캘린더, 카카오톡 이모티콘 등
- 첫 인사를 제외하고 내용이 없거나 단순 호응만 있는 문장은 반려 대상입니다.
- 반려 예시: “ㅎㅎㅎㅎ 오올~” / “하하하 ^-^”
- 초성이나 텍스트 이모티콘만 단독으로 있는 문장은 반려 대상입니다.
- 반려 예시: “ㅋㅋㅋㅋㅋ ㅇㅇ” / “ㅠㅅㅠ ㅋㅋㅋㅋㅋㅋ”
- 폭력적, 선정적 표현은 반려 대상입니다.
-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발언, 욕설이나 비속어는 반려 대상입니다.
대화 파일 만들기
- PC 카카오톡에서 대화 내보내기를 눌러 대화 파일을 만듭니다.
- 더보기 → 대화 내용 → 대화 내보내기를 눌러 대화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파일 제목은 [(나이대) (성별)][(나이대) (성별)]_세부 주제로 저장합니다.
- 예: [20대 여자][20대 여자]_가족 영화.txt
- 파일 제목에 슬래시(/)는 입력할 수 없으므로 대시(-)로 대체합니다.
대화 파일 편집하기
- 대화 파일은 대화문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 채팅 이름 형식이 바른지 확인합니다.
- 줄임말, 인터넷 용어, 은어는 사용할 수 있으나 단순 오탈자는 수정합니다.
예: 안녀ㅓㅇ(안녕) / 샘몀과학(생명과학) / 뭐라곸ㅋㅋㅋ(뭐라고 ㅋㅋㅋㅋ) 등 - 대화 중 메시지를 지운 경우 나타나는 안내 문구(“삭제된 메시지입니다.”)를 삭제합니다.
- 실수로 작업자의 개인 정보가 드러났을 경우 수정합니다.
- 대화를 최소 30턴에서 최대 40턴 분량으로 수정합니다.
- 대화 시작 부분은 그대로 유지합니다.
- 40턴 이후를 잘라낼 때 대화의 흐름이 끊겨도 상관 없습니다.
작업 예시
작업화면과 조작방식
작업 제출하기
- 버튼을 누르고 대화 파일을 선택합니다.
- 주어진 세부 주제를 입력합니다.
- 두 작업자의 성별을 선택합니다.
- 작업을 저장합니다.
- 작업 제출 버튼을 눌러 완료합니다.
크롬 자동 번역 OFF
- 위 기능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반려 메시지가 자동 번역되어 정확한 안내를 받지 못하게 되니 꼭 설정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