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두 사람의 대화를 요약하고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두 사람의 대화문이 주어집니다.
- 발화자(말하는 사람) 한 명이 자신의 차례에 한 말을 대화 문장이라고 합니다.
- 대화문은 60~80개의 대화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a 발화자와 b 발화자를 설정합니다.
- 발화자는 말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 대화를 시작하는 사람이 a 발화자입니다.
- 대화 문장에서 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있다면 작성하거나 체크합니다.
- 대화 요약
- 발화자 관련 정보
- 외부 정보 문의
- 정보 문의에 대한 상세 답변
- 발화자 관련 정보_ 사용 여부
- 외부 정보_사용 여부
이 프로젝트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가이드 업데이트
3/20
[외부 정보 문의] 기준 변경
- 대화 중 상대가 외부 정보가 담긴 말을 했을 경우, 그 다음 대화 문장에 외부 정보 문의를 작성합니다.
3/16
[발화자 설정] 항목 추가
[대화 요약] 기준 추가
- 질문하는 문장은 요약하지 않습니다.
- 요약문을 작성할 때 발화자를 앞서 설정한 a/b로 지칭합니다.
- 요약문은 평서문으로 작성합니다.
[대화 요약] 예시 추가
[발화자 관련 정보와 사용 여부] 기준 추가
- 전체 대화문에서 발화자 관련 정보를 1회 이상 작성해야 합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발화자 관련 정보 사용 여부를 1회 이상 체크해야 합니다.
[정보 문의에 대한 상세 답변과 외부 정보 사용 여부] 기준 추가
- 검색 결과가 이미지 위주더라도 제일 상단의 텍스트를 복사해서 입력합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외부 정보 사용 여부를 1회 이상 체크해야 합니다.
작업방법
- a 발화자와 b 발화자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전체 대화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대화 문장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대화 문장 하나에서 네 항목에 관해 작성할 수 있습니다.
- 해당하는 항목이 있을 경우 작성합니다.
- 문장을 저장하면 다음 대화 문장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모든 문장 작업을 완료하고 작업을 제출합니다.
작업 기준
발화자 설정
대화 요약
- 대화 문장에 발화자의 정보나 생각이 나온다면 요약문을 작성합니다.
- 질문하는 문장은 요약하지 않습니다.
- 추측하는 문장은 요약하지 않습니다.
- 요약문을 작성할 때 발화자를 앞서 설정한 a/b로 지칭합니다.
- a/b는 소문자로 작성합니다.
- 대화 문장 5개 진행시 요약문을 최소 1개 작성해야 합니다.
- 요약문 없는 문장이 연속해서 5개 이상 이어질 수 없습니다.
- 요약문은 평서문으로 작성합니다.
- 요약문은 여러 개의 문장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요약문의 끝말은 ‘~이다.’, ‘~한다.’로 통일합니다.
- 요약문의 끝은 마침표(.)로 마무리합니다.
- 예시 (1)
- 대화 문장 1은 질문이기 때문에 대화 요약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 대화 문장 2는 b 발화자(20대 여자B)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대화 요약을 작성했습니다.
- 예시 (2)
- 대화 문장 1은 질문이기 때문에 대화 요약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 대화 문장 2는 b 발화자(20대 여자B)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대화 요약을 작성했습니다.
발화자 관련 정보와 사용 여부
- 현 대화 문장에서 이전 문장의 내용이나 정보와 관련해 얘기할 경우 발화자 관련 정보를 작성합니다.
- 해당 내용/정보가 처음 나왔던 문장의 요약문을 복사해서 그대로 입력합니다.
- 현 대화 문장이 이전 문장의 내용/정보를 반영했다면 발화자 관련 정보_사용 여부를 체크합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발화자 관련 정보를 1회 이상 작성해야 합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발화자 관련 정보 사용 여부를 1회 이상 체크해야 합니다.
- 예시 (1)
- 대화 문장 2는 대화 문장 1의 정보와 관련해서 얘기했기 때문에 대화 문장 1의 요약문을 복사해 입력했습니다. (빨간색 표시)
- 대화 문장 2는 대화 문장 1의 정보를 반영했기 때문에 발화자 관련 정보_사용 여부에 체크했습니다. (초록색 표시)
- 예시 (2)
- 대화 문장 5는 대화 문장 2의 정보와 관련해서 얘기했기 때문에 대화 문장 2의 요약문을 복사해 입력했습니다. (빨간색 표시)
- 대화 문장 5는 ‘이 시기에 바쁘다’라는 대화 문장 2의 정보를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화자 관련 정보_사용 여부에 체크하지 않았습니다. (초록색 표시)
외부 정보 문의
- 대화 중 상대가 외부 정보가 담긴 말을 했을 경우, 그 다음 대화 문장에 외부 정보 문의를 작성합니다.
- 외부 정보란 인터넷 검색으로 찾을 수 있는 정보를 말합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외부 정보 문의를 1회 이상 작성해야 합니다.
- 외부 정보 문의는 외부 정보를 언급한 대화 문장의 명사를 활용하여 키워드 형식의 검색어로 작성합니다.
- 대화 문장에 적절한 명사형 단어가 없을 경우, 적절히 변형합니다.
- 예시
- 첫 번째 대화 문장에서 외부 정보가 담긴 말을 했기 때문에, 두 번째 대화 문장에 외부 정보 문의를 작성했습니다.
정보 문의에 대한 상세 답변과 외부 정보 사용 여부
- 외부 정보 문의를 작성한 문장은 정보 문의에 대한 상세 답변도 함께 작성해야 합니다.
- 외부 정보 문의에서 작성한 검색어로 구글에 검색하고 제일 위에 뜨는 결과를 복사해서 입력합니다.
- 반드시 구글에서 검색합니다. (네이버 검색 X)
- 검색 결과가 텍스트 형식이 아닐 경우 결과를 요약해서 작성합니다.
- 검색 결과가 이미지 위주더라도 제일 상단의 텍스트를 복사해서 입력합니다.
- 검색 결과의 정답/오답/시기에 따른 변동 여부는 관계 없습니다.
- 대답하는 대화 문장에서 외부 정보를 사용해 대답을 했을 경우, 외부 정보_사용 여부에 체크합니다.
- 전체 대화문에서 외부 정보 사용 여부를 1회 이상 체크해야 합니다.
- 예시 (1)
- 대화 문장 3에 ‘브레이킹배드 무슨 내용’이라는 외부 정보 문의를 작성했으므로 구글에 검색한 후 제일 위에 뜨는 결과를 복사해서 상세 답변에 입력했습니다. (빨간색 표시)
- 대화 문장 3은 외부 정보를 사용해서 대답했기 때문에 외부 정보_사용 여부에 체크했습니다. (초록색 표시)
- 예시 (2)
- 대화 문장 2에 ‘도쿄 날씨’라는 외부 정보 문의를 작성했으므로 구글에 검색했습니다.
- 검색한 결과가 텍스트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요약해 상세 답변을 작성했습니다. (빨간색 표시)
- 대화 문장 2는 외부 정보를 사용해서 대답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 정보_사용 여부에 체크하지 않았습니다. (초록색 표시)
작업 예시
크롬 자동 번역 OFF
- 위 기능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반려 메시지가 자동 번역되어 정확한 안내를 받지 못하게 되니 꼭 설정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