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제시된 지문을 읽고 질문의 답을 찾아 마우스로 드래그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
- 제시된 지문 꼼꼼히 읽기
- 질문 파악하기
- 지문에서 정답을 찾아 마우스로 드래그
이렇게 완성된 결과물은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개발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작업 기준
1. [답변 기준]
- 답변의 시작과 끝은 공백을 포함하지 않아야 합니다.
- 답변은 질문에서 요구하는 (핵심 단어)정보를 포함한 문장입니다.
2. [반려 기준]
- 질문과 상관없는 지문을 정답으로 작업한 경우 반려 대상입니다.
- 핵심 단어가 들어갔더라도 질문과 상관없는 지문을 정답으로 작업한 경우 반려 대상입니다.
- 예시 문제
부산시는 오는 9일부터 주요 현안과 정책을 시각적으로 쉽게 시민에게 전달하기 위해 빅데이터로 위치기반 행정업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위치기반 정책지도 서비스를 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위치기반 정책지도 서비스는 행정업무에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주요 시정 현안과 정책을 시각적으로 시민에게 쉽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고자 추진한다. 빅데이터 포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서비스는 8개 분야 복지 사업현황과 도시쇠퇴 분석, 창·폐업 시계열과 상권별 카드매출 분석, 클린에너지 사업현황과 지역별 시설·장비 설치현황, 유동인구가 결합한 상가형·골목형 전통시장·상점 현황, 공공·작은 도서관 현황, 서부산 기반시설·사회문화·산업경제 현황 등 50종으로 자료를 내려받을 수도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위치기반 정책지도 서비스가 시민에게 쉽게 전달하고 소통 될 수 있는 창구로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다양한 데이터 발굴과 분석으로 시정 정보를 시민에게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공유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질문 | 위치기반 서비스는 뭘 통해서 제공되나요? |
핵심 단어 | 빅데이터 |
정답 (검수 대상) | 빅데이터 포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오답 (반려 대상) | 부산시는 오는 9일부터 주요 현안과 정책을 시각적으로 쉽게 시민에게 전달하기 위해 빅데이터로 위치기반 행정업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위치기반 정책지도 서비스를 한다고 5일 밝혔다. |
작업 예시
작업 방법
- 답변 시작 점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드래그합니다. 답변 끝 지점에서 드랍하면 자동으로 답변이 작성됩니다.
- 답변이 문장 앞뒤 공백없이 잘 작성되었다면 저장 버튼을 눌러 입력해주세요.
- 잘못 드래그한 경우에는 수정 버튼을 눌러 답변을 수정할 수 있고, 삭제 버튼을 눌러 새롭게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 크롬 자동 번역 옵션 제공을 비활성화해야 실습 프로젝트를 정확히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출처: 본 실습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AI HUB 공공데이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