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손 글씨로 풀이, 첨삭된 글자를 보고 폴리곤 툴을 이용한 작업을 하고, 해당하는 목록을 선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글자 외곽에 맞춰 작업되어 있지 않거나, 태깅이 누락된 경우 반려대상입니다.
- 손글씨만 바운딩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인쇄된 글씨는 작업 대상이 아닙니다.)
- 글씨의 외곽에 폴리곤 툴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으로 작업해주세요.
- 학생이 풀이를 튜터가 첨삭을 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색이 다르고, 보통 평가가 적혀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가이드 수정 내역
2022.02.14 | FAQ (자주 묻는 질문) 가 추가되었습니다. |
FAQ (자주 묻는 질문)
※ 이미지 클릭 시 확대가 가능합니다.
※가이드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 후 작업에 참여해주세요.※
2차 가이드 주요 변경 사항
- 작업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 형태를 변경했습니다.
- 이미지 2장이 붙어 있는 형태
- 이미지 1장만 있는 형태
주 반려사유
작업대상
클래스 | 유형 | 작성자 | 역할 (복수선택가능) |
수식 / 텍스트 |
|
|
|
그래프 / 도형 |
|
|
|
낙서기호 |
|
|
|
※ 낙서기호의 역할 선택은 작업자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선택해주세요. ※
1. 클래스: 수식/텍스트
수식 | 수학적인 요소 O, 한글(영어) X |
텍스트 | 수학적인 요소 X, 한글(영어) O |
텍스트/수식 | 수학적인 요소 O, 한글(영어) O |
(**단, 미지수를 나타내는 알파벳이나 한글은 수식에 해당합니다. 예) a, b, c 또는 ㄱ, ㄴ, ㄷ)
(1) 텍스트: 수학적인 요소는 없고, 한글이나 영어가 있는 경우위 예시 이미지 바운딩의 분류: 수식/텍스트 – [텍스트] – 풀이 – 해당없음
(2) 수식: 수학적인 요소는 있고, 한글이나 영어가 없는 경우
위 예시 이미지 바운딩의 분류: 수식/텍스트 – [수식] – 풀이 – 해당없음
(3) 텍스트/수식: 문제를 받아쓰거나, 풀이과정을 쓸 때에 수학적인 요소와 한글 등이 한줄에 같이 있는 경우위 예시 이미지 바운딩 분류 : 수식/텍스트 – [텍스트/수식] – 풀이 – 해당없음
- 미지수를 나타내는 알파벳은 수식이므로,
점선밑줄 친 (a,b) (p,q) p+q는 모두 [수식]에 해당함. - 단위가 mm, ml, kg등의 영문일 때는 [수식]으로 태깅합니다.
(예시) 2mm X 1 = 2 [수식] - 단위가 한글(영어)의 텍스트 일때는 [텍스트]로 태깅합니다.
(예시) 500원, 500won [텍스트/수식]
(4) 작업대상에 포함되는 수식의 예시
아래 예시들을 포함한 모든 수식이 작업대상에 포함됩니다.
![]() |
연립방정식 |
![]() |
피타고라스의 정리 |
![]() |
근의 공식 |
(5) 혼동되는 수식과 텍스트의 분류 정리 :
- 본문에 있는 손글씨의 문제 번호와 일련 번호의 바운딩과 태깅
2. 클래스: 그래프
(1) 그래프에 해당하는 기본 유형
![]() |
수직선 |
![]() |
그래프 |
![]() |
일반그림 |
![]() |
평면도형 |
![]() |
표 |
(2) 그래프 중 [기타]에 들어가는 유형
![]() |
히스토그램 |
![]() |
수직선 아님 |
![]() |
함수 간 연결 |
![]() |
공간도형 |
3. 클래스: 낙서기호
(**풀이낙서: 풀이 과정 중 풀이를 위해, 계산을 위해 끄적이는 형태로 쓰여진 것으로 숫자나 기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타의 경우, 풀이 낙서, 밑줄, 화살표, 체크, 스마일 등 항목에 들어가 있지 않은 기호들을 의미합니다.
4. 작성자 표시
-
- 손글씨 – 풀이 : 학생이 풀이과정을 쓴 경우, [풀이] 로 태깅합니다.
- 손글씨 – 첨삭 : 튜터가 첨삭한 경우, [첨삭] 으로 태깅합니다.
작업방법
- 모든 대상은 폴리곤 (점찍기) 툴을 이용하여 작업해주세요.
- 수식 / 텍스트, 그래프 / 도형은 폴리곤 툴을 이용하여 작업하되, 최소 4개~ 최대 8개의 점을 사용하여 작업해주세요.
1. 기본 작업 방법
- 한 줄에 이어지는 수식을 하나로 바운딩합니다.
- 풀이맥락상 다른 수식들은 별도로 바운딩합니다.
- 같은 줄에 수식/텍스트, 그래프, 도형, 낙서기호가 적혀 있는 경우, 낙서기호를 기호를 별도로 바운딩해주세요.
(**두 줄로 만들어진 수식인 경우만 하나로 바운딩합니다. 예시를 참고해주세요.)
- 풀이와 첨삭은 따로따로 바운딩해주세요.
- 같은 줄에 수식/텍스트, 그래프, 도형, 낙서기호 가 적혀 있는 경우 낙서기호를 별도로 바운딩해주세요.
2. 기본 작업 규칙
- 손글씨가 아닌 인쇄된 글씨는 작업 대상이 아닙니다.
- 오른쪽 위에 위치한 문제 번호는 손글씨지만 작업하지 않습니다.
- 첨삭 : 대부분 풀이와 사용한 필기구의 색이 다르고, 평가 내용이 적혀있습니다.
- 바운딩 영역이 겹쳐도 상관없이 작업해주세요.
- 수식, 첨삭, 밑줄이 같은 줄 안에 있는 경우 태깅 항목이 다르므로 각각 작업해주세요.
- 그래프의 경우 줄을 무시하고 하나로 작업해주세요.
- 유형 구분이 어려운 경우, 작성된 글씨의 색을 기준으로 구분해주세요.
※아래 예시 이미지는 태깅 대상 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 작업에서는 글자의 외곽에 딱 맞도록 작업해주세요. ※아래 예시 이미지는 태깅 대상 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 작업에서는 글자의 외곽에 딱 맞도록 작업해주세요.
(1) 수식 / 텍스트에 대한 작업규칙
- 글씨 한줄을 기준으로 작업해주세요.
- 휘어지지 않게 적혀진 글씨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폴리곤 작업해주세요.
- 휘어지게 적힌 글씨는 최대한 각진 형태로 작업해주세요.
(**이때 점의 개수는 최대 8개입니다. 반려 기준 참고.)
- 연립 방정식과 같이 두 줄로 되어있는 수식은 [손글씨-풀이]로 태깅하고 아래 예시처럼 작업해주세요.
- …1 / …2 와 같이 키보드 입력이 가능한 경우 같이 작업합니다.
- 키보드 작성이 가능한 물음표와 느낌표는 수식 / 텍스트에 포함하여 작업해주세요.
(**아래와 같이 기울어진 글자나 수식의 경우, 기울어진 각도에 맞춰 폴리곤 작업을 진행해주세요.)
(2) 그래프 / 도형에 대한 작업 규칙
- 그래프나 도형의 외곽에 맞추어 바운딩합니다.
- 그래프에 관련된 좌표나 수식을 포함하여 하나로 통으로 바운딩합니다.
- 그래프는 유형에 따라 2차원 그래프, 평면도형, 벤다이어그램, 수직선(범위), 표, 분자구조, 기타로 나뉩니다.
위 예시 이미지 내 바운딩의 태깅
좌측 바운딩 태깅 : 그래프 – 기타 – 식별불가 – 해당없음
우측 바운딩 태깅 : 수식/텍스트 – 텍스트/수식 – 해당없음
(3)낙서기호에 대한 작업규칙
- 낙서기호는 글씨의 외곽을 기준으로 점 4개만을 사용하여 직사각형으로 바운딩해주세요.
- 수식 / 텍스트 / 그래프 / 도형 은 낙서기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느낌표 (!) 와 물음표 (?)가 단독으로 적혀있는 경우, 풀이자가 쓴 것이면 [손글씨-풀이] 로 첨삭자가 쓴 것이면 [손글씨-첨삭] 으로 태깅해주세요.
(**풀이자 첨삭자 구별이 어려운 경우 [식별불가]를 사용해주세요.)
클래스별 바운딩 특징
1. 수식/텍스트
- 수식이나 텍스트는 직사각형으로 바운딩하되, 각도가 기울어져 있으면 각도에 맞추어 바운딩합니다. 여백이 거의 없도록 바운딩합니다. 각도가 기울어져 있을 때 점 4개 ~ 점 8개까지 사용하여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그래프/도형
- 그래프나 도형은 그래프(또는 도형)에 연관된 좌표나 수식을 포함하여 통으로 하나로 바운딩합니다.
(**전체 그래프를 통으로 바운딩하고, 그래프 안에 있는 잘못된 바운딩은 모두 해제합니다.)
- 일반 그림도 하나로 바운딩 하고, 세부적인 텍스트는 바운딩 하지 않아도 됩니다.
(위 예시 이미지는 그래프 – [기타] – 풀이 – 해당 없음으로 분류됩니다.)
3. 낙서기호
작업예시
1. 수식작업
(1) 예시 1
: 한 줄 단위마다 작업합니다.
![]() |
![]() |
![]() |
(2) 예시 2
: 예시 1처럼 한 줄 단위로 작업하고, 소거법 표시를 위한 빗금은 낙서기호에 해당하므로 따로 작업해주세요. (**바운딩 범위가 겹쳐치는 건 반려 대상이아닙니다.)
![]() |
![]() |
![]() |
(3) 예시 3(**최소공배수)
: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계산 등 수식에 해당하는 식이 적혀있으므로 각 줄은 수식으로 작업하고, 중간에 있는 구분 선은 낙서기호로 작업합니다.
![]() |
![]() |
![]() |
2. 그래프의 유형 중 기타
(1) 예시 1 (**조립제법)
: 조립제법의 경우, 전체 영역을 바운딩한 후 [그래프] – [기타] 로 분류해주세요.
![]() |
![]() |
![]() |
(2) 예시 2 (**약수 찾기)
: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 계산 시 약수를 찾을 때 사용하는 아래와 같은 그림의 경우, [그래프] – [기타] 로 분류해주세요.
![]() |
![]() |
![]() |
(3) 예시 3 (**수형도)
: 수형도로 불리는 아래와 같은 그림은 [그래프] – [기타] 로 분류해주세요.
![]() |
![]() |
(4) 예시 4 (**인수분해를 위한 이차식)
: 인수분해 개념을 익히기 위한 방식으로 이차식 아래에 항의 계수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부분은 [그래프] – [기타] 로 분류해주세요. 수식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 |
![]() |
![]() |
**아래와 같이 이차식 아래에 항의 계수를 끄적거리는 형태로 화살표 없이 썼을 경우, [풀이낙서] – [기타] 로 분류해주세요.
3. 낙서기호의 유형 중 기타
풀이의 유형이 아래와 같을 때, 수식은 한 줄 단위로 바운딩합니다. 덧셈뺄셈 기호와 “ㄴ” 모양의 라인은 하나로 묶어 바운딩하고, 낙서기호 – 기타로 분류합니다.
반려 기준
- 작업 대상을 누락한 경우 반려대상입니다.
- 여백이 많게 작업된 경우 반려대상입니다.
- 서로 태깅 항목이 다른 대상 글씨를 함께 작업한 경우 반려대상입니다.
(**수식/텍스트와 낙서기호와 함께 작업 된 경우)
- 수식 / 텍스트, 그래프 / 도형의 작업 시 점의 개수가 9개 이상인 경우 반려대상입니다.
작업화면과 조작방식
1. 작업화면 및 조작방식
- 원하는 부분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점이 생성됩니다.
- 반시계 방향으로 점을 찍고, 마지막으로 처음 찍은 점을 다시 누르면 폴리곤 박스가 생성됩니다.
- 오른쪽 작업화면 내 태깅 목록 중 해당하는 클래스 / 유형 / 작성자 를 선택해주세요.
- [저장] 버튼을 눌러 작업을 저장해주세요.
- 모든 작업이 끝나면 [작업 제출] 버튼을 눌러 작업을 종료해주세요.
2. 크롬 자동 번역 OFF
- 크롬 우측 상단에서 [크롬 맞춤 설정 및 제어]로 진입합니다.
- [설정]을 클릭해 주세요.
- 좌측 메뉴에서 [고급]을 클릭해 주세요.
- [언어]를 클릭해 주세요.
- 언어 설정 중 [이 언어로 된 페이지에 대한 번역 옵션 제공]을 이미지와 같이 비활성화 해주셔야 합니다.
- 위 기능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반려 메시지가 자동 번역되어 정확한 안내를 받지 못하게 되니 꼭 설정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