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이미지에서 모든 사람의 얼굴을 바운딩 후, 속성(감정 및 모습)을 태깅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모든 사람의 얼굴을 바운딩해주세요.
- 바운딩한 사람의 감정을 선택해주세요.
- 바운딩한 사람의 모습을 선택해주세요.
이렇게 완성된 결과물은 대상을 인식하거나 구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활용됩니다.
작업 기준
1. [바운딩 대상]
- 바운딩 대상은 얼굴에 이목구비가 하나라도 보이는 경우 바운딩 해야 합니다.
(이목구비가 완전히 보이지 않는 사람은 바운딩 대상이 아닙니다.) - 얼굴이 머리카락(혹은 다른 물체)에 가려지는 경우 보이는 부분까지만 바운딩해주세요.
- 실제 사람만 바운딩 대상입니다. 사람 사진, 사람 그림, 유리 등에 반사된 사람은 바운딩 대상이 아닙니다.
- 1개의 얼굴에 1개 바운딩만 작업 되어야 합니다.
2. [바운딩 범위]
- 바운딩은 이미지를 확대하여 타이트하게 작업해주세요.
- 귀를 포함하여 이마부터 턱 끝까지 보이는 부분까지만 바운딩해주세요.
- 얼굴색을 기준으로 바운딩해주세요.
(머리카락이 바운딩 범위에 포함되어도 되나, 바운딩 기준이 아닙니다.) - 아래 바운딩 기준은 턱 끝입니다. 만약 수염이 많아서 턱 끝이 보이지 않는다면 턱 끝을 예상해서 바운딩해주세요.
- 턱이 두 개인 경우 아래턱을 기준으로 바운딩해주세요.
일반 턱 이중 턱
3. [반려 기준]
- 바운딩이 꼼꼼하지 못한 경우 반려됩니다.
- 머리카락을 포함하여 바운딩한 경우 반려됩니다.
-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바운딩 범위에 무리하게 넣으면 반려됩니다.
얼굴 바운딩함 (검수 통과) 선글라스 바운딩함(작업 반려) - 속성을 잘못 선택하는 경우(감정 및 모습) 반려됩니다.
- 바운딩 객체가 많을 경우에도 이미지에 나온 모든 객체를 바운딩해야 합니다. 최종 바운딩 박스가 부족한 경우 반려될 수 있습니다.
4. [속성 기준]
– 가려진 모습: 타인/본인 신체 (머리, 어깨, 팔 등 해당되며 이때, 머리카락은 제외입니다.) 또는 물체 등으로 얼굴 전체 영역이 조금이라도 가려진 얼굴에 해당합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려진 모습 | |
![]() |
– 손으로 턱이 가려짐 (가운데 사람) – 모자로 이마가 가려짐 (오른쪽 사람) |
![]() |
– 모자로 이마가 가려짐 |
– 이례적인 모습: 눈과 입이 거의 수평선상에 존재하거나 눈이 입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얼굴 (물구나무, 텀블링, 춤 등)입니다.
이례적인 모습 | |
![]() |
눈과 입이 거의 수평선 상에 존재 |
– 일반적인 모습: 정면을 보고 있는 경우, 옆모습일 때 한쪽 눈이라도 완벽하게 보이는 경우입니다. 안경, 선글라스를 착용한 얼굴도 일반적인 모습에 해당됩니다.
일반적인 모습 | ||
![]() |
![]() |
![]() |
5. [작업 불가]
1. [검수 통과] 2. [작업 반려]
모두 뒤돌아 있음 (작업 불가)
이목구비가 보임 (작업 가능)
주의 사항
귀 포함, 이마~ 턱 끝까지 바운딩
수염이 있는 경우(적음)
수염이 있는 경우(많음)
머리카락까지 바운딩
물체 포함 바운딩
귀 불포함 바운딩
턱 끝 예상하지 않고 바운딩
선글라스에 맞춰 바운딩
속성 선택이 틀림
작업 예시
바운딩
바운딩 박스를 타이트하게 작업
태깅
바운딩 대상의 속성(감정 및 모습)을 적절히 태깅
특이사항
수염, 머리카락 제외 등 기준을 잘 지켜 작업
작업 화면과 작업 방법
1. 작업 화면
2. 작업 방법